Search

산술 연산

산술연산 이라 해서 말이 어려워 보이지만 그냥 사칙연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요약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나머지
++
증가
--
감소

더하기 연산 (+)

int x = 10; int result; result = x + 3; // result : 13
C#
복사

뺴기 연산 (-)

int x = 10; int result; result = x - 5; // result : 5
C#
복사

곱하기 연산 (*)

int x = 10; int result; result = x * 2; // result : 20
C#
복사

나누기 , 나머지 연산 ( /, % )

몫을 구하는 계산 : /
나미지를 구하는 계산 : %
int x = 17; int result_1; int result_2; result_1 = x / 5; // result_1 : 3 result_2 = x % 5; // result_2 : 2
C#
복사
Tip / 연산을 하는 것 보다 * 연산을 하는게 빠릅니다. 가능하면 *를 이용해 주세요. 예를 들면 아래 계산의 답은 둘 다 5지만 아래있는 계산이 더 빠르게 처리됩니다. x = 10 / 2 x = 10 * 0.5f

증감 연산 (++ , --)

증감연산은 다른 사칙연산과는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1씩 연산
더하고 빼는 값을 마음대로 사용 가능한 다른 연산과는 다르게 증감은 1씩 계산됩니다.
int x = 10; x++; // x : 11 int y = 10; y--; // y : 9
C#
복사
변수에 바로 계산
일반적으로 변수는 연산을 한 값을 다시 할당하지 않으면 저장되지 않습니다.
int x = 10; Console.WriteLine(x + 10); // 20 출력 Console.WriteLine(x); // 10 출력
C#
복사
위 예제에서는 x 에 10을 더했지만 다시 할당하지 않았으므로 x 는 그대로 10 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값을 저장하려면 변수에 다시 할당을 해야합니다.
int x = 10; x = x + 10; // x 는 처음에 10 이었지만 // = 를 이용해 x 에 다시 값을 다시 할당했습니다. // 그리고 할당한 값은 x + 10 // 여기서 x 는 10 이었으므로 10 + 10 이 됩니다. Console.WriteLine(x); // 20 출력
C#
복사
x = x + 1; 을 줄여서 표현하는게 가능합니다.
이처럼 일반 연산 (+, -, *, /, %)들은 다시 할당을 해야 값이 저장이 됩니다.
하지만 증감 연산자는 사용하고 다시 할당하지 않더라고 값이 저장됩니다.
int x = 10; x++; // x++ 를 하고 다시 x 에 할당하지 않았습니다. Console.WriteLine(x); // 11 출력 int y = 10; y--; // y++ 를 하고 다시 y 에 할당하지 않았습니다. Console.WriteLine(y); // 9 출력
C#
복사
전위 연산 / 후위 연산
증감 연산은 해당 연산을 변수의 앞 혹은 뒤에 붙일 수 있습니다.
int x = 10; x++; ++x;
C#
복사
작업을 할때 각 줄의 끝에 세미콜론( ; ) 을 붙인 것을 기억하실 겁니다.
이 세미콜론을 기준으로 띄어쓰기를 하고 이를 각 라인 이라고 합니다.
C# 에서는 라인을 기준으로 한 라인, 한 라인 작업을 수행합니다.
여기서 연산자를 뒤에 붙인다면 해당 라인이 끝나고 값이 증가합니다.
연산자를 앞에 붙인다면 해당 라인을 실행할때 증가된 값으로 실행합니다.
int x = 10; Console.WriteLine(x++); // 10 출력 - ++ 를 x 뒤에 붙였기 때문에 여기까지는 아직 10입니다. Console.WriteLine(x); // 11 출력 - 이후에는 11로 저장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nt y = 10; Console.WriteLine(++y); // 11 출력 - ++ 를 x 앞에 붙였기 때문에 여기서 부터 11 로 인식합니다. Console.WriteLine(y); // 11 출력 - 물론 이후에도 저장된 11로 남아있습니다.
C#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