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의 생성
데이터형식과 이름을 정하고 세미콜론으로 마무리하면 변수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문자와 숫자가 들어갈 변수를 만든 모습입니다.
문자가 들어갈 변수를 x, 숫자가 들어갈 변수를 y 로 만들었습니다.
변수의 저장
집을 만들었으니 이제 이사를 할 수 있습니다.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할때는 = 을 이용하게 됩니다.
저장할때는 형식에 맞춰서 저장을 해야합니다.
형식 맞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팀스파르타” 가 들어가있는 x, 2023 이 들어가 있는 y 변수가 생겼습니다.
근데 위 설명이 없었다면 x, y 에 어떤 데이터가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아마 x 에 어떤 값이 들어가 있는지 파악하기는 힘들겁니다.
변수의 이름을 좀더 의미있게 바꿔보겠습니다.
‘codingClub’ 이라는 이름이 ‘x’ 보다 어떤 데이터가 들어가 있는 집인지 좀 더 알기 쉽습니다.
이렇게 유추하기 쉬운 이름을 사용하면 나중에 변수가 많아지더라도 덜 혼동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