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3. 에셋 다운로드 및 커스터마이징 실습

에셋 다운로드 및 커스터마이징 실습

왜 중요한가요?

게임 제작이나 인터랙티브 콘텐츠 개발에서는 모든 요소를 직접 만들기보다 기성 에셋을 가져와 조합하는 일이 빈번합니다. 외부 에셋을 프로젝트에 적절히 적용하고 조정하는 능력은 실무에서 매우 중요한 역량입니다.

개념 바로 알기

에셋(Asset)이란?
3D 모델, 머티리얼, 애니메이션, 사운드 등 콘텐츠 구성 요소의 총칭
언리얼에서는 .uasset 형식으로 사용
대표적인 에셋 플랫폼
Fab (공식, Unreal Engine 통합)
Fab은 Unreal Engine Marketplace, Sketchfab, Quixel, Artstation Marketplace를 결합한 플랫폼입니다.
다양한 에셋을 쉽게 검색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SketchfabTurboSquidFree3D 등 (FBX 등 외부 포맷)
외부 포맷으로 제공되는 에셋을 Unreal Engine에서 사용하려면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직접 구현해보기

목표: 외부에서 에셋을 다운로드 받아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위치/스케일 등을 조정해 씬에 통합합니다.

[Step 1] Fab 플러그인 사용 및 로그인

언리얼 에디터에서 콘텐츠 브라우저 상단의 [Fab] 버튼 클릭
(Fab 플러그인이 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바로 사용 가능)
팝업 창에서 Epic 계정으로 로그인

[Step 2] 에셋 검색 및 라이브러리 추가

Fab 창에서 Outdoor 또는 Urban 등 원하는 카테고리 선택
마음에 드는 오브젝트를 Add to My Library 클릭하여 내 라이브러리에 추가

[Step 3] 에셋 프로젝트에 임포트

언리얼 프로젝트 Fab 창의 My Library(내 라이브러리) 탭에서 추가한 에셋 확인
원하는 에셋을 Add to Project 버튼으로 프로젝트에 임포트
또는 Fab 창에서 에셋을 씬이나 콘텐츠 브라우저로 드래그 앤 드롭
콘텐츠 브라우저에서 에셋이 정상적으로 추가됐는지 확인

[Step 4] 에셋 배치 및 조정

씬에 에셋을 배치
이동, 회전, 크기 조정(Transform Tool) 기능으로 위치 정리
Collision(충돌) 설정도 확인

[Step 5] 폴더 구조 정리

콘텐츠 브라우저에서 MyAsset 폴더 생성 후 에셋 이동
폴더 구조를 깔끔하게 정돈

제출하기

구현과정과 느낀점, 이미지를 첨부하여 TIL로 작성해주세요. (TIL 제출과 과제 제출 동일한 링크로 제출해주시면 됩니다. )
[내일배움캠프 Unreal] 사전캠프 - 에셋 다운로드 및 커스터마이징 실습 1. 오늘 배운 개념 요약 // 2. 구현 과정 요약 (스크린샷 + 간단 설명) - 적용한 외부 에셋이 보이는 씬 스크린샷 1장 - 어떤 플랫폼에서 어떤 에셋을 사용했는지 간단히 서술 (예: Quixel / Broken Bench / ID: 215332) - 폴더 구조에 대한 설명 필수 포함 3. 느낀 점 & 개선하고 싶은 점
HTML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