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아티클
[아티클 내용 요약]
사회 각지에서 불고있는 친환경 열풍에따라 디자이너들 사이에서도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다.
지속 가능한 이라는 단어는 보통 현실제품의 처리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은데
온라인 및 디지털 제품 서비스의 탄소 배출과 에너지 소비 또한 상당하다.
웹페이지 하나를 볼 때마다 평균적으로 이산화탄소 1.76g이 배출되며,
소프트웨어, 인터넷 서버가 필요로 하는 대량의 에너지 등
디지털 제품의 영향은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친환경 UX 디자인 방법
•
UI 디자인 개선
간소화되고 탐색에 최적화된 UI·UX 디자인은 사용자가 빠르게 정보를 찾고 과업을 완수해 불필요한 인터넷 및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음
① 다크모드와 폰트 최적화
•
다크모드는 디스플레이 출력을 줄여 배터리 및 모니터 화면 전력 소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폰트 또 웹사이트에 폰트 타입 1개를 줄일 때마다 웹사이트의 무게를 최대 250kb까지 절약할 수 있다.
② 이미지와 영상의 최소화
•
이미지나 동영상 콘텐츠를 다수 사용하는 UI·UX 디자인의 웹사이트나 앱은 데이터와 전력을 많이 소비하기에 이를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유의미한 결과를 낼 수 있음
•
사용하는 이미지가 많고, 이미지 파일이 클수록 전송 과정에 더 많은 데이터와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이미지 크기를 압축해서 축소해서 사용
③ 내적 구조 개편
•
불필요한 스크립트를 제거하고, 코드를 줄이고, 캐싱 방식을 최적화하는 깔끔하고 효율적인 웹코딩으로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 처리 능력을 줄일 수 있다.
•
이미지나 동영상을 CDN에 저장하기
◦
CDN?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를 하나로 묶는 기술.
적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해도 해당 콘텐츠를 로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저장 공간을 최적화 가능
•
제품서비스 개편이 어렵다면, 재생 에너지만을 사용해 서버를 구동하는 호스팅 업체를 사용하는 방법도 존재
•
친환경도 좋지만 사용성이 함께해야한다
UX 디자이너는 친환경을 생각하면서도 사용성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친환경에 몰입해 심미적으로 아름답지 않고, 사용성이 떨어지는 디자인은
사용자의 참여를 낮춰 존재의의를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