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서비스를 제작하는 이들의 일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쉬운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다. 모든 상황과 모든 사람을 고려하여 서비스에 포괄하여 반영해야 한다. 가능한 많은 사람들(장애 비장애 여부와 관계없이)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고려한 디자인을 제공해야 한다.
접근성을 고려한 디자인
모두를 고려한 디자인 예시 : 애플
애플은 사용자들을 위해 ‘손쉬운 사용’ 기능을 계속해서 제공하고 있다.
기능 | 기능 상세 | |
말하기 | 실시간 말하기 | 말하고 싶은 내용을 타이핑하면 기기가 그 내용을 소리내 읽어 주는 기능. 말을 할 수 없거나, 말하기 장애가 있거나, 텍스트로 의사소통하는 것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경우 실시간 말하기 기능을 활용해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 |
말하기 | 개인음성 | 목소리 상실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가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자신의 목소리와 유사한 음성을 생성할 수 있다. 15분 가량의 오디오 녹음을 통해 사용자의 목소리와 비슷한 음성을 만들어 준다. |
시각 | VoiceOver | 기기에서 벌어지는 일을 정확히 말로 설명해주는 업계 최고 수준의 화면 읽기 기능인 VoiceOver. 다양한 요소를 음성으로 설명해 주기 때문에 터치스크린이나 트랙패드에서의 간단한 제스처만으로, 또는 Bluetooth 키보드를 통해 화면을 쉽게 다룰 수 있다. |
시각 | 플래시 효과 흐리게 처리 | 플래시 효과 흐리게 처리 기능은 섬광 효과를 기피하는 사용자도 보다 편안하게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빛이 번쩍이는 장면에서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를 어두워지게 한다. |
청각 | 소리인식 | 기기 자체의 인공지능을 활용해 특정 소리를 감지한 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 이 기능은 15가지 유형의 소리를 감지해 특정 소리나 경고가 감지되면 사용자는 알림을 받게 된다. |
애플은 신체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아이폰 및 아이패드 사용 경험을 향상하기 위한 신기능을 대거 출시했다. 말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를 고려한 개인음성 기능, 실시간 말하기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를 돕고 있다. 해당 기능들의 목적은 더욱 광범위한 사용자들이 애플의 기기를 더욱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애플은 세계 접근성의 날을 기념해 매년 손쉬운 사용 기능을 출시한다.
그 외 업데이트
모두를 위한 ‘포용적 디자인’의 원리 :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의 포괄적인 채용
포용적 디자인은 사람의 다양성을 고려하는 한 관점이자 방법이다. 다양성을 고려한 디자인은 디자인의 접근 가능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하고, 감정과 맥락을 고려할 수 있게 한다.
우리가 자신의 능력을 기준으로 사용하면
일부 사람들은 사용하기 쉽지만 다른 사람들은
사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 Microsoft Inclusive Toolkit
포용적 디자인 원칙 설명 :
세가지 원칙 | |
배제인식 | 자신의 편향을 사용하면 배제는 자연스럽고 무심코 발생하게 된다. 개인과 자신의 상황, 환경, 사회 전반의 불균형을 포용하도록 디자인 되어야 한다. 배제가 발하는 지점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포용적 디자인을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하나의 해결을 여러 해결로 확장 | 영구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디자인하면 더 광범위한 인구가 누릴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 수 있다. 장애를 다르게 보고 배제를 이해하면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자막 방송의 경우 청각 장애인을 위해 고안되었지만, 이 기능은 어린이 교육이나 시청각 자료에 활용되고 있다. 영구 장애에서 상황 장애로 발생하는 연속성을 인식하면 새로운 방법으로 더 많은 사람에게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 |
다양성에서 배우기 | 인간의 고유한 특성, 감정적 상황, 환경을 탐색하는 방식을 관찰하고 배울 때 제품 디자인이 개선된다. 장애가 있는 사람의 주위 환경과 그들이 세상에 적응하는 방식을 알아보며 공감과 통찰력을 얻어야 한다. 공감이 잘 이루어 지면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장애물 이상의 것 인식할 수 있고, 또한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동기를 인식할 수 있다. |
이런 디자인들은 영구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용자(장애인) 만이 접근 가능한 별도의 서비스를 만들자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비장애인들의 60%는 접근성 기능을 사용한다.
장애는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 지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인터랙션(상호작용) 할 수 없음을 뜻하는 것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례 :
감자 껍질 제거기
1960년 Copco enamel 주철 조리기구를 만든 Sam Farber는 관절염을 가진 아내가 금속 주방 도구와 투쟁하는 것을 보고 아내를 위해 OXO 주방 필러를 개발했습니다. 그는 관절염 환자도 사용할 수 있는 인체 공학 적이고 편안한 그립감의 필러를 만들어 많은 사람들의 고통을 해결했습니다.
사용자가 입력할 내용을 예측해 제안하는 스마트폰 키패드
사용자가 입력할 텍스트를 제안해 입력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은 입력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쉽게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설계되었다.
모두를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한 이유 : 다양한 장애 상황
Youtube, Facebook, Twitter와 같은 서비스는 비디오에 자막을 추가하고 있다. 시각장애인을 위해 고안된 이 자막 디자인은 비장애인들이 소리가(이어폰이 없는 상태)에서 자막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높이는 데에 쓰인다. 접근성을 향상시키면 사용성은 자연스레 높아진다.
또한 장애가 영구적인 상황이 아닐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해당 그림은 영구 / 임시 / 상황 장애의 예시가 담긴 그림이다.
사고로 인해 팔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도 있지만, 일시적인 부상에 처했거나, 상황 상 팔을 쓸 수 없는 시간도 존재한다. 미국의 경우 매년 약 26,000명의 사람들이 팔, 다리를 잃는다. 그러나 우리가 일시적인 것과 상황적인 장애를 포함한다면 그 숫자는 2천만 명에 가까워진다.
결국 0.01% 미만의 사용자들에게 혜택을 주는 것에서 약 7%의 사용자들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모두를 고려한 쉽고 단순한 디자인 : 실전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복잡한 디자인을 피하고 단순하고 깔끔하게 만들도록 한다. 웹이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목적을 기억하고, 최대한 단순하게 디자인하도록 노력해야한다.
구성 | 설명 |
쉬운 말의 사용 | 컨텐츠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명료하고 쉬운 말을 사용한다. |
명확한 대비 | 전경과 배경색의 대비 차 4.5:1을 사용하면 콘텐츠를 읽기 수월해 진다. |
이미지 설명 | 는 여러분이 어떤 종류의 미디어를 업로드 할 때 대체 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경우 alt 속성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설명하는 텍스트를 추가해 보자. |
키보드 사용자 고려 | HTML로 문서를 구조화 할 때 의미있는 요소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버튼일 경우 <div>가 아니라, <button>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르다. 의미있는 요소를 올바르게 사용하면 많은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큰 클릭 영역 | 클릭 가능한 영역을 크게 만들면 시각, 신체 장애를 가진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 기기(스마트 폰, 키오스크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도 도움이 된다. |
논리적 구성 | 중요한 콘텐츠를 화면 여기 저기에 분산 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중요한 콘텐츠를 집중 시켜 배치하면 화면을 확대해 보는 시력이 안 좋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게 만들 수 있습다. |
사용자 테스트 | 가능한 많은 사용자에게 테스트를 수행해야 한다. |
참고
Henry Charge는 접근 가능한 서비스를 설계한 경험과 장애를 위한 설계가 모든 사람에게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포괄적인 디자인 (Inclusive Design) - Henry Charge 영상
Last updated @9/3/2018, 9:29:00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