삻의 질을 높여주는 10가지 UX 사례
핵심 내용
[에어비앤비] 와이파이 자동 연결
여행을 가거나 식당, 숙소와 같은 곳에 도착하면, 와이파이 연결을 제일 먼저 하게 되는데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많다. 에어비앤비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모바일 앱을 통해 쉽게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산타] 문제 소거 기능
문제를 풀 때 ‘소거’하는 방식을 자주 사용한다. 이 방식은 문제를 단순화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산타’는 소거 방식을 온라인 환경에도 적용했다. 온라인 환경에서도 오프라인과 동일한 환경에서 문제를 풀 수 있다.
[토스] 중복 이체 방지 안내
토스는 사용자들이 동일한 사람에게 중복으로 송금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중복이체방지’ 안내 문구를 제공한다. 이는 한 사람에게 연속으로 두 번 이상 이체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무신사] 모자 필터 내 ‘모자깊이’
무신사는 모자 제품군에서 '깊이감'이라는 필터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깊이를 가진 모자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사용자는 이 필터를 사용하여 깊이감 있는 모자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어, 온라인 쇼핑에서 모자 구매에 대한 걱정을 줄일 수 있다.
[유튜브 뮤직] 샘플 탭
사용자들이 더 빠르게 음악을 탐색할 수 있도록 ‘샘플’ 탭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의 음악 앱과 유사한 방식으로 음악을 무작위로 추천해 주는데, 이 샘플 탭 기능을 통해 곡의 매력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yes24] 사이즈 비교 기능
책의 사이즈를 비교하기 위해, 신용카드와 A4 용지를 기준으로 누구나 쉽게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세심한 배려가 도서를 판매하는 여러 서비스 중에서 ‘예스24’를 선택하는 요인이 될 수 도 있을 것 같다.
[정육각] 구매 횟수 정보
리뷰를 작성한 사용자의 구매 횟수 정보를 구매자 정보와 함께 제공한다. ‘재구매’에 대한 직접적 데이터로, 해당 상품에 만족해서 여러 번 구매했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현대카드] 소비 잔소리 기능
과소비를 조절하기 위해 ‘소비 잔소리’ 기능을 제공한다. 원하는 알림 금액을 설정하고, 해당 금액을 초과해서 소비할 경우에 푸시 알림을 통해 잔소리를 전달한다.
[여다] 여행일정 받아보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숙소 유형, 액티비티, 먹고 싶은 음식 등을 선택하면, 1분 안에 AI가 여행 일정을 자동으로 생성해 준다.
[다락] 유닛 정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체국 택배 박스, 골프 가방, 매트리스 등을 3D 이미지로 보여주어 공간감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인사이트
1.
사용자 선호도 파악
사용자가 빠르고 쉽게 원하는 음악을 찾고자 할 때, 음악 앱은 샘플 탭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2.
제품 정보 제공의 중요성
온라인 쇼핑에서는 제품의 사이즈와 형태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품의 크기나 형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더욱 신뢰하고 쉽게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3.
실제 경험과 가상 경험의 연결
제품을 온라인으로 볼 때, 사용자들은 실제 크기나 형태를 가늠하지 못 할 때가 있는데 가상 공간에서도 제품 크기와 모양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3D 이미지와 같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온라인 쇼핑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자기관리 및 소비 습관 개선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잔소리를 제공하여 과소비를 조절하고 금융 건정성을 높일 수 있다.
5.
개인화된 경험 제공
여행 서비스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화된 여행 일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여행 경험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사용자들이 쉽게 원하는 여행 스타일을 선택하고 일정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 중심의 개선과 샘플 탭, 3D 이미지 등 기술적인 요소들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선호도와 행동 패턴을 이해하고 이에 맞춰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보인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만족도와 서비스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부 서비스의 기능에 대해 자세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사용자들이 서비스의 장점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