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 웹 사이트 : 쿠팡 플레이>
2.
선정 이유 : 팀원 전체가 OTT를 많이 사용하고, 쿠팡 플레이가 넷플릭스나 타 스트리밍 사이트에 비해 부족한 점이 많아 보여 개선점을 찾고 분석하기 좋을 것 같았다.
3.
서비스 소개 : 최신 영화, TV 시리즈, 스포츠 중계, 독점 쿠플 시리즈 등을 가진 스트리밍 사이트
2. UI/UX 디자인 분석
1.
화면 구성
a.
최상단 캐러셀 디자인이 너무 크다. 박스형 캐러셀을 채택하지 않고, 전체 화면을 이용하는게 컨텐츠를 더 집중시킬 수 있을 것 같다.
b.
컨텐츠를 넘길 때 사용하는 화살표 아이콘이 인디케이터와 함께 몰려있기 때문에 마우스의 동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그동한 학습해온 경험은 캐러셀 끝 단에 화살표 아이콘이 있기 때문에 시각 동선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2.
마우스 호버 시
a.
카테고리 메뉴 호버 시 색상변화로 반응하여 가시성을 높여주는 반면 화면이 잘 정돈된 넷플릭스와 비교했을 때 버튼의 색과 폰트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전체적인 이미지가 다소 난해한 인상을 준다.
b.
컨텐츠에 마우스 호버 시 주는 정보가 부족하며 카테고리 설정이 미흡하다.
3.
인상깊은 UI/UX와 이유
a.
비 로그인 시에도 OTT 내에 어떤 콘텐츠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b.
작품에 대한 평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c.
글씨와 버튼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느껴지긴 하지만 시력에 불편함을 느끼는 분들에게는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3. 개선 아이디어
개연성 없는 추천
•
개선할 점 : 사용자의 취향에 맞지 않은 추천이 뜨고 추천 멘트도 단순하여 흥미를 끌기 어렵다.
•
개선 아이디어 :
1.
수상작이나 요즘에 인기를 끄는 콘텐츠를 선정하여 메인 화면에 띄운다.
2.
사용자가 시청한 콘텐츠를 위주로 비슷한 콘텐츠를 선정하여 세분화된 추천을 한다.
UI 디자인 문제
•
개선할 점 : 서비스 이용 유도버튼이 눈에 확 들어오지 않는다.
•
개선 아이디어 :
1.
보다 세련된 UI디자인으로 사용자의 구미가 당기는 팝업창을 만든다.
2.
웹사이트의 정체성과 톤앤매너에 맞는 디자인을 한다.
3.
컨텐츠에 비해 글씨가 너무 두꺼우며 버튼의 크기를 일관되게 디자인하려 했으나, 사용자에겐 버튼이 그렇게 큰게 필요하지 않다.
4.
이번주의 인기작을 더욱 사용자 기준에서 눈에 띄는 곳에 배치하는것이 좋을 것 같다. + 순위가 눈에 더 띌 수 있게 디자인
5.
최상단 캐러셀 디자인이 너무 크다. 박스형 캐러셀을 채택하지 않고, 전체 화면을 이용하는게 컨텐츠를 더 집중시킬 수 있을 것 같다.
6.
컨텐츠에 마우스 호버 시 주는 정보가 부족하다.
카테고라이징 문제
•
개선할 점 : 메인 케러셀 상단과 하단에 유사한 카테고리 메뉴가 있어 사용성이 좋지 못하고 화면의 깔끔한 이미지를 주지 못한다.
•
개선 아이디어 :
1.
세부적인 카테고리 메뉴는 찾기 쉬운 영역에 한번에 정리한다.
2.
메인 화면에 죽 나열하는 방식을 지양한다.
비회원 시
로그인 시